반응형 고객가치3 기업의 존재 목적은 무엇인가? 이익과 고객 가치의 사이에서. 경영학의 대가인 피터 드러커는 기업의 목적은 고객을 창조하고 유지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고객을 창조하기 위해 기업이 해야 할 일은 마케팅과 이노베이션이며, 그 결과로 이익을 추구하게 된다고 말한다. 즉, 기업의 존재 목적은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활동을 통해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가 말하는 기업의 실체는 세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이다. 첫째, 고객 창조 활동을 통해 결국 이익을 내며 성과를 창출하는 존재다. 둘째, 고객 창조와 이익 추구 활동을 통해 기업 내부의 종업원을 키우는 존재다. 그리고 셋째, 그런 기업의 활동은 필수적으로 사회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사회적인 영향과 책임을 다해야 하는 존재다. 피터 드러커는 기업의 존재 목적이 이익.. 2023. 2. 5. 기업은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가? 기업 의사 결정의 매커니즘 “기업의 주인은 기업 자신이다!” 싱가포르 국립대학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중인 신장섭교수는 '기업이란 무엇인가'라는 책을 통해 8대 기업명제를 제시했다. 이 책에서 저자는 기업의 주인은 다른 누구도 아닌, 바로 기업 자신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세상의 모든 기업은 영속하고 번영하기 위해 존재한다.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 기업은 무엇을 위해 어떤 가치를 이루기 위해 존재하는가? 생각해 보지 않았던 주제를 다시한번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기업은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을 가지고 있고, 그 이해 관계자에는 기업의 경영자와 직원 뿐 아니라 대주주와 소액 주주, 그리고 금융기관이나 고객, 지역 사회까지 다양한 형태로 기업과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런 이해관계자 중 기업의 소유권인 주식을 보유한 주주는 실질적으로 기업의 주.. 2023. 2. 5.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비지니스 모델 혁신을 어떻게 지원하나 기업은 자신이 가진 자원과 프로세스를 가지고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며 가치를 만들어낸다. 이것을 만들어내는 과정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다. 비지니스 모델이란 기업이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이 가진 자원을 어떻게 활용하고 어떻게 수익을 창출할 것인가를 정의하는 것이다. 그래서 비지니스 모델의 구성 요소는 크게 1)고객의 가치 제안, 2)핵심 자원, 3)핵심 프로세스, 4)이익방정식으로 나눌 수 있다. 1980년에 포춘 500대 기업에 들어갔던 기업의 평균 유지 기간은 30년이다. 2000년의 포춘 500 기업의 유지기간은 15년이고, 2010년 기업들의 유지기간은 7년이다. 그만큼 시장의 변화가 매우 빨라지고 있다. 이러한 고객의 변화에 맞추어 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에 맞는 .. 2023. 2.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