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영통계

1인 가구 가구수, 소득, 소비 현황_1인 가구에 대해 궁금한 모든 데이터

by 선한혁신가 2023. 4. 30.
반응형

우리나라에서 가장 보편적인 가구 형태는 무엇일까? 2인 가구? 3인가구?

대한민국에서는 1인 가구가 가장 보편적인 형태다.

 

1인 가구에 대해 궁금할만한 모든 통계 정보를 모아 보았다.

 

   1. 대한민국 가구 현황과 1인 가구 비중

 

우리나라 전체 가구수는 21년 기준 21,448천 가구다. 그 중 7,166천 가구가 1인 가구로 비중으로는 33.4%다.

1인 가구 비중은 2015년 27.2%로 5,203천 가구였지만, 지난 6년 사이에 약 38% 증가했다.

전체 가구수가 12% 증가한 것에 비하면 1인 가구수의 증가는 매우 큰 수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천,가구)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전체가구 19,111 19,368 19,674 19,979 20,343 20,927 21,448
1인가구 5,203 5,398 5,619 5,849 6,148 6,643 7,166
1인가구비중 27.2% 27.9% 28.6% 29.3% 30.2% 31.7% 33.4%

 

가구원수별 가구 현황 세부 자료는 아래 표를 참조하면 된다. 표에서 보이는 것처럼 1인 가구 다음으로 많은 가구수는 2인 가구로 6,077천 가구고 비중으로는 전체 가구수의 28.3%다.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수와 비중(2015~2021년 통계 데이터)

 

   2. 성별, 연령대별 1인 가구 비중

 

1인 가구의 성별과 연령대별 현황은 어떨까?

보통 우리는 1인 가구라면 20대와 30대를 생각하기 쉽고 평균으로 보면 1인가구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20대로 19.8%다. 하지만, 성별로 나누어 보면 1인 가구의 연령대별 비중이 매우 성별 편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성의 경우, 20대와 30대에서 1인 가구의 비중이 높다. 

 

 

 

29세 이하의 20대 1인 가구 비중은 20.2%이고, 30대의 1인 가구 비중은 21.8%다. 

그리고 70세 이상에서 1인 가구 비중은 8.8%로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남성은 나이가 들수록 1인 가구 비중이 줄어든다. 

 

남성, 여성 각 연령대별 1인 가구 비중

 

여성의 경우는 20대에서 1인 가구 비중은 남성과 비슷한 19.4%이지만, 30대에서는 12.4%로 1인 가구 비중이 급격히 줄어든다. 특히 40대 1인 가구 비중은 9.7%로 가장 낮은 수준이다.

그리고 40대를 저점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1인 가구 비중이 점점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의외로 60대 여성의 1인 가구 비중은 18.3%이고, 가장 높은 1인 가구 비중은 70대 이상 여성으로 27.3%다.

 

특히 2020년과 2021년 데이터로 비교해 보면, 전 연령대에서 1인 가구의 숫자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통계적인 데이터를 가지고 판단했을때, 고령이 된 여성은 1인 가구로 혼자 사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이유가 무엇이든 남성은 혼자 사는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1인 가구 소득, 경제 활동과 소비 지출 현황

 

1인 가구 평균 소득은 2021년 기준으로 2,691만원이다. 

가구 소득 현황

 

1인 가구의 취업 현황은 21년 전체 1인 가구 7,166천 가구 중 4,140천 가구가 취업하여 58% 가량이 취업 활동을 하고 있다.

 

취업 가구 수가 늘어나는 것에 비해, 주당 평균 취업 시간은 지속 하락 추세로 나타났다.

 

다만, 2015년 이후 대한민국 전체 가구에서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감소 트렌드이므로,

특별히 1인 가구의 문제라고 볼 수는 없다.

 

 

1인가구는 주거,수도,광열비 등 주거를 위한 기본 생활비에 가장 큰 소비를 지출한다.

 

2순위로 많이 지출하는 항목은 음식과 숙박이며, 3순위로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에 소비한다.

 

1인 가구가 주거비에 많은 지출을 하는 것은 주거 형태가 전월세가 많은 것과 관련이 큰 것으로 보인다.

 

1인 가구는 여가 활동에 지출을 사용하는 비중이 낮은데, 지난 1년간의 여가활동 여부에 대한 조사에서 보듯이, 대부분의 여가활동에서 1인 가구는 전체 가구대비 더 낮은 활동을 보였다.

그만큼 소득 수준이 낮기 때문에 소비 여력이 더 낮은 것이 이유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1인 가구 여가활동 여부

 

1인 가구는 주로 평일에 3~5시간 정도 여가 시간을 가지는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말에는 5시간 이상의 여가시간을 갖는 비중이 크다.

 

   4. 1인 가구 주거 형태 및 자가,전월세 거주 현황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와 비교했을 때 월세 비중이 매우 높다.

 

자기 집에 거주하는 비중은 34.3%고, 전세가 17.5%, 월세가 42.3%로 월세로 거주하는 비중이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소득은 낮은데 매월 월세를 지급해야 하는 금액이 있으므로, 소비 지출 여력이 그만큼 낮을 수 밖에 없다.

 

1인가구 자가,전세,월세 거주 현황

 

1인 가구는 단독 주택와 아파트에 많이 거주하는데, 이는 성별, 연령별로 1인 가구 비중이 많은 편차가 있었듯이, 연령별로 주거 유형도 편차가 클 것으로 보인다.

 

 

 

   5. 1인 가구 전국 지역별 분포 현황

 

1인 가구의 대부분은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한다.

 

하지만, 연령별로 1인 가구의 거주지역 분포는 차이가 큰데, 20대와 30대는 서울과 경기도가 높다.

 

전 연령대에 걸쳐 1인 가구 거주 비율이 높은 것은 경기도다. 경기도에는 다양한 기업들과 아파트가 공급되어 있고, 이것이 1인 가구의 거주 비율이 전연령대에 걸쳐 높은 이유일 것이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가 혼자 사는 이유 중 가장 큰 것은 본인 직장과 본인의 경제적 독립이 가장 컸다.

 

연령대가 높을 수록 지방의 1인 가구 비중이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역별 1인 가구 비중도 편차가 있다.

가장 높은 1인 가구 비중을 가진 도시는 대전과 서울이다. 가장 낮은 곳은 경기로 29.2%다.

 

각 시도별 1인 가구 비중

 

   6. 향후 1인 가구 예상 추이 (2030년, 2040년, 2050년)

 

 

통계청에 따르면, 1인 가구는 지속 증가해서 2050년에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39.6%가 1인 가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1인 가구의 연령대다.

2005년 기준으로는 1인 가구의 22.8%가 20대 이하였고, 19.9%가 30대였다.

 

하지만, 2050년대에는 70세 이상의 고령 1인 가구가 전체 1인 가구의 42.9%가 될 전망이다.

60대의 1인 가구 16%까지 합하면 60세 이상의 1인 가구 비중이 59%에 달한다.

 

 

특히, 출산율 감소에 따라 20대의 1인 가구 비중은 7.5%, 30대 1인 가구 비중은 11.5%밖에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만큼 노령화에 대한 부분은 심각하다.

1인가구는 소득 수준도 낮고, 소비 여력도 낮고, 자기 집을 가지고 있는 비중도 매우 낮다.

이들이 지속적으로 1인 가구로 유지된다면, 특별히 저축과 투자로 자산을 형성하지 않은 가구는 고령에 큰 위기가 있을 것이다.

1인 가구 연령대별 비중, 2005년, 2050년 비교

 

1인 가구 문제는 노령화 문제와 함께 고민해야 하는 문제가 아닌가 생각된다.

2023년 현재의 30대가 30년 후인 2050년에는 60대가 된다. 

 

 

한국은 OECD 주요국가 중에서도 2020년 현재 1인 가구 비중이 높은 편이지만, 2040년에 1인 가구 증가율도 다른 어느나라보다 더 높을 전망이다.

 

 

1인가구 관련 더 많은 데이터를 확인하고 싶다면

 

 

 

인구와 출생율 관련 다른 통계 데이터가 궁금하다면

2023.04.28 - [경제경영통계] - 대한민국 인구수, 가구수, 1인 가구 데이터 통계 (23년 3월 기준)

 

대한민국 인구수, 가구수, 1인 가구 데이터 통계 (23년 3월 기준)

1. 대한민국 가구수 및 인구 현황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3년 3월 기준 대한민국 총 인구수는 5천 141만 4,281명이다. 세대수는 2천 3백 795천 469가구다. 세대당 인구수는 2.16명이다. 1) 대한민국 행

betterberry.co.kr

 

2023.04.10 - [경제경영통계] - 대한민국 출생율 및 OECD 국가 출생률 : 인구가 경제력인 시대

 

대한민국 출생율 및 OECD 국가 출생률 : 인구가 경제력인 시대

대한민국의 출생율이 매우 위험한 수준으로 떨어지고 있다. 경제에서 인구의 힘은 그 중요성을 아무리 말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번 글에서는 대한민국의 인구 현황과 OECD 국가의 인구/출생율 현

betterberry.co.kr

 

2023.05.21 - [경제경영통계] - 인구 피라미드와 인구현황, 인구구조, 출생율과 초혼연령, 1인가구까지 인구의 모든 것

 

인구 피라미드와 인구현황, 인구구조, 출생율과 초혼연령, 1인가구까지 인구의 모든 것

인구피라미드는 인구 구조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그래프입니다. 2023년과 1960년도, 2070년도의 대한민국 인구 피라미드 그래프로 인구 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와 함께 2023년의 다양

betterberry.c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