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괴적혁신3 파괴적 혁신이 어려운 이유와 혁신에 필요한 조건, 혁신을 만드는 리더십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교수가 지은 파괴적 혁신, Disruptive Innovation은 혁신을 얘기할 때 가장 많이 인용하는 단어입니다. 파괴적 혁신의 사례로 우리는 우버, 에어비앤비, 넷플릭스 등을 꼽습니다. 세상에 나와 사용자들이 경험해 본 순간, 기존과는 다른 경험에 엄청난 만족감을 느끼게 되었고, 급속도로 사용자들을 모아갔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파괴적 혁신은 신생기업에서 시작됩니다. 거대기업이 파괴적 혁신을 만들어내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왜 조직이 더 크고 자본이 많은 대기업은 오히려 파괴적 혁신이 어려울까요? 코닥과 디지털 카메라 사례를 통해 그 이유와 혁신이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확인해 보고자 합니다. 1. 코닥의 혁신 실패 : 필름 카메라 → 디지털 카메라 전환 지연 디지털카메라.. 2023. 5. 25. 비지니스 혁신이 반드시 파괴적일 필요는 없다. 1. 비지니스 모델은 반드시 파되적이어야 하나? 우리는 흔히 비지니스 혁신은 넷플릭스처럼 파괴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하버드비지니스 리뷰에 실린 Nathan Furr and Andrew Shipilov 교수의 논문 'Digital doesn't have to be disruptive'에 의하면 디지털 혁신은 혁신 자체보다는 적용이 중요하다고 한다. 그들은 논문의 결과로 이렇게 말한다. "최고의 결과는 재창조보다는 Adaption(적용, 각색)에서 온다. The best results can come from adaptation rather than reinvention." 금번 Article은 Nathan Furr 교수와 Andrew Shipilov 교수의 논문에 대한 요약이다. 많은 기업들이 .. 2023. 2. 6. Disruptive한 비지니스 모델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DIsruptive한 비지니스 모델이란, 기업이 가치를 제공하는 방식이 기존의 산업의 프로세스를 완전히 파괴하는 방식으로 비지니스를 하는 것을 말한다. 파괴적 비지니스 모델은 새롭고 효율적인 방식을 도입해서 기존의 비지니스 수행 방식을 파괴함으로써 해당 산업의 운영 방식을 변화시키는 비지니스 모델 유형이다. 기술을 활용하여 새롭고 혁신적인 제안에 매력을 느끼는 고객에게 더 나은 가치를 제안하는 방식으로 기존 시장을 무너뜨린다. 이를 통해 잠재적으로 기존 회사를 대체하고 산업내의 경쟁 역할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버린다. 기업의 본질은 고객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기업은 고객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가치를 만들어내는 집단이다. 기업은 기업이 가진 자원과 프로세스를 활용해서 고객이 가진 문제를 해.. 2023. 2.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