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1인가구수2

1인 가구 가구수, 소득, 소비 현황_1인 가구에 대해 궁금한 모든 데이터 우리나라에서 가장 보편적인 가구 형태는 무엇일까? 2인 가구? 3인가구? 대한민국에서는 1인 가구가 가장 보편적인 형태다. 1인 가구에 대해 궁금할만한 모든 통계 정보를 모아 보았다. 1. 대한민국 가구 현황과 1인 가구 비중 우리나라 전체 가구수는 21년 기준 21,448천 가구다. 그 중 7,166천 가구가 1인 가구로 비중으로는 33.4%다. 1인 가구 비중은 2015년 27.2%로 5,203천 가구였지만, 지난 6년 사이에 약 38% 증가했다. 전체 가구수가 12% 증가한 것에 비하면 1인 가구수의 증가는 매우 큰 수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천,가구)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전체가구 19,111 19,368 19,674 19,979 20,343 20,92.. 2023. 4. 30.
대한민국 출생율 및 OECD 국가 출생률 : 인구가 경제력인 시대 대한민국의 출생율이 매우 위험한 수준으로 떨어지고 있다. 경제에서 인구의 힘은 그 중요성을 아무리 말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번 글에서는 대한민국의 인구 현황과 OECD 국가의 인구/출생율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0. 합계출산율 지표 21년 현재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은 0.78이다. 합계출산율이란 15~49세의 가임 여성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합계 출생아 수를 나타낸 지표다. 연령별 출산율의 합산으로 나타내며, 한 나라의 출산력을 대표하는 지수다. 1. 대한민국 출생아수와 합계 출산율 현황 1970년 101만명이었던 출생아 수는 52년이 지난 22년 25만명으로 줄어들었다. 가임기 여자 1명당의 합계 출산율은 70년 4.53%에서 22년 0.78%까지 떨어졌다. 각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인구는.. 2023. 4.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