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영통계

대한민국 출생율 및 OECD 국가 출생률 : 인구가 경제력인 시대

by 선한혁신가 2023. 4. 10.
반응형

 

대한민국의 출생율이 매우 위험한 수준으로 떨어지고 있다.

경제에서 인구의 힘은 그 중요성을 아무리 말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번 글에서는 대한민국의 인구 현황과 OECD 국가의 인구/출생율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0. 합계출산율 지표

21년 현재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은 0.78이다.

 

합계출산율이란 15~49세의 가임 여성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합계 출생아 수를 나타낸 지표다.

연령별 출산율의 합산으로 나타내며, 한 나라의 출산력을 대표하는 지수다.

 

1. 대한민국 출생아수와 합계 출산율 현황

 

1970년 101만명이었던 출생아 수는 52년이 지난 22년 25만명으로 줄어들었다.

가임기 여자 1명당의 합계 출산율은 70년 4.53%에서 22년 0.78%까지 떨어졌다.

 

70년대~20년대 출생율과 출생아수 그래프

 

 

각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인구는 많아 출생아수는 적지 않지만 합계 출산율에서 0.59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 시도별 출생아수 21년-22년
대한민국 각 시,도, 지역별 출생아수 및 합계 출산율

 

 

 

 

2. 우리나라 출산율과 OECD 출산율 비교 그래프

OECD 국가들과 비교해보면 우리나라의 합계 출산율이 매우 낮은 수준이고 위험한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0.78 수준이다.

2000년 초에도 낮은 수준이었지만, 1.3정도의 합계 출산율을 기록했던 한국은 20년이 지난 현재는 OECD국가 중 거의 유일하게 1이하로 축소된 합계 출산율을 기록 중이다.

 

가장 높은 합계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는 것은 이스라엘로 2.9 수준의 합계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년동안 합계 출산율이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 매우 놀라운 점이다.

 

2002년 기준으로 가장 높았던 사우디 아라비아는 2002년 3.8 수준에서 2020년 2.3 수준까지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다.

OECD 국가별 출산율 그래프
OECD 국가별 출산율 변화 그래프

 

합계 출산율을 전세계 지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세계 합계 출산율 지도
합계 출산율 지도

 

 

 

 

 

3. 전세계 출산율 예측 

 

유엔에 따르면, 2015~2020년 전 세계 평균 출산율(全世界平均出産率)은 2.59명으로, 이는 통계가 시작된 1950년 이후 역대 최저치(歷代最低値)에 해당된다.

향후에도 출산율은 계속 감소(繼續減少)해 2095~2100년에는 1.95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15~2020년 기준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아프리카로, 평균 4.44명에 달하며, 그 다음으로는 오세아니아가 2.36명, 아시아가 2.15명으로 뒤를 이었다. 가장 낮은 지역은 유럽으로 1.61명이었다.

 

전세계 대륙별 출산율 예측
전세계 여성 1인당 출산율 예측

 

4. 출생율 변화에 따른 연령대별 인구와 1인 가구수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연령대는 45세~64세의 베이비붐 세대의연령대다. 특히 50~54세 인구가 4,423천명으로 가장 큰 인구수를 가지고 있다. 60년대말에서 70년대 초에 태어난 2차 베이비붐 세대다.

연령대별 추산 인구수
연령대별 인구 추산

 

 

 

 

 

그리고 인구수는 현재의 15세~19세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여 20~24세 인구가 3,279천명인데 비해, 15~19세의 인구는 2,346천명으로 갑자기 29%가 감소했다. 1998년 IMF 이후 갑작스런 경기 불황은 결혼과 출산에도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는 현재 인구수에도 그대로 나타난다.

 

그 이후 출생아수는 어느정도 유지되었는데, 현재 0~4세 시대는 그 이전인 5~9세에 비해 또 갑작스럽게 낮은 인구수를 보이고 있다. 

 

이는 비혼과 만혼에 따른 1인 가구수의 증가와도 무관하지 않다.

아래는 우리나라 1인 가구수를 연령대별로 구분해 놓은 그래프다.

 

60세 이상의 1인 가구수도 많지만, 가장 많은 1인 가구수는 30~34세인 것을 볼 수 있다.

30~34세는 사회생활을 가장 적극적으로 하면서 어느정도 안정을 찾은 시기이자, 결혼을 통해 가정을 꾸려야 하는 시기다. 하지만, 이 시기의 많은 사람들은 1인 가구로 독립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

 

1인가구 연령대별 분포 그래프
1인가구 연령대별 분포

 

이에 따라, 25~29세의 24%와 30~34세의 21%가 혼자 사는 1인 가구 형태를 띄고 있다.

 

 

 

 

5. 인구수와 경제 성장

 

인구수는 경제성장의 원천이다.

인구수 그 자체가 소비를 이끌어 가는 주체이면서도, 경제에 노동력을 제공하는 주체이기도 합니다.

아무리 많은 생산을 해도 소비할 주체가 없으면 경기가 활력을 가질 수 없고, 아무리 소비가 많아도 생산할 인력이 없으면 기업은 국내에서 노동력을 공급받을 수 없고 더 많은 노동력과 싼 임금을 찾아 다른 나라로 이동할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미래 인구는 그 자체가 부동산과 금융, 과거 세대의 노후를 책임지는 세대이기도 하죠.

 

실제 2000년대 들어 가장 빠르게 성장한 BRICS는 인구 성장을 기반으로 경제 급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중국이 2000년대 이후 세계 2위 경제국가가 된 이유도 결국 엄청난 인구수를 기반으로 한 소비 시장과 노동력 공급 시장을 모두 가졌기 때문입니다.

전세계 국가별 인구수
국가별 2022년 인구수 현황

 

한국의 인구 피라미드가 40대를 정점으로 점점 더 적은 인구수를 가지면서 아래가 점점 좁아지는 항아리형의 인구 피라미드를 보여준다.

한국의 인구 피라미드

 

인도의 경우에는 출생률이 높은 관계로 아래로 내려갈 수록 더 많은 인구수를 가지고 있다.

현재도 인도는 중국에 이어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나라지만,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더 많은 인구를 기반으로 경제 성장을 이끌어갈 잠재력이 있다고 보는 이유다.

인도의 인구 피라미드

 

 

6. 결혼, 출산 확대에 대해서

 

 

 

 

최근 국가가 출산율 장려와 결혼 장려를 위해 출산지원금과 신혼부부 청약 지원 등 많은 제도적 혜택을 부여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나라의 비혼 증가와 출산율 저하는 단순히 경제적인 문제 이상의 여러가지 복합적인 문제의 결과입니다.

결혼 후 시댁과의 갈등, 가부장적 구조 하에서 여성들의 결혼에 대한 부정적 인식, 출산 후 맞벌이의 어려움이나 경쟁적인 교육구조, 교육에서의 부익부 빈익빈 등, 여러가지 복합적인 구조로 현재 많은 젊은이들은 결혼이나 자녀 출산을 꺼리고 있습니다.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더욱 적극적인 결혼 장려와 출산 장려가 일어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2023.08.24 - [경제경영통계] - 합계출산율 0.78 _ 심각한 대한민국 인구 위기

 

합계출산율 0.78 _ 심각한 대한민국 인구 위기

지난 8월 22일 EBS의 다큐멘터리 '인구대기획 초저출생' 10부 예고편에는 대한민국의 합계 출산율을 본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법대 조앤 윌리엄스 명예교수가 "대한민국 완전히 망했네요. 아!" 하

betterberry.co.kr

 

 

2023.04.28 - [AI와 빅데이터] - 대한민국 가구수,인구수와 1인가구 현황 (23년 3월 기준)

 

대한민국 인구수, 가구수, 1인 가구 데이터 통계 (23년 3월 기준)

1. 대한민국 가구수 및 인구 현황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3년 3월 기준 대한민국 총 인구수는 5천 141만 4,281명이다. 세대수는 2천 3백 795천 469가구다. 세대당 인구수는 2.16명이다. 1) 대한민국 행

betterberry.c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