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10년간 각 시도 및 지역별 인구 증감은 어떻게 변화했을까요?
1. 시도별 인구 증감 및 증감 원인
-
- 순이동: 서울의 경우, 순이동 인구가 -930,631명으로 가장 큰 폭의 감소를 보였습니다. 이는 서울의 인구 감소가 주로 타 지역으로의 이동 때문임을 나타냅니다.
- 하지만, 서울은 출산, 사망, 이민 등 기타 요인으로 인한 인구 변화가 163,685명으로 관찰되었습니다. 이는 인구 감소의 일부를 상쇄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행정구역(시군구)별 | 2022년 | 2022년 - 2012년 증감 | 인구 증감 원인 | |||
총인구수 (명) | 인구 비중 | 총인구수 (명) | 증감율 | 지역별 순이동 | 출산, 사망, 이민 등 | |
전국 | 51,439,038 | 100% | 490,766 | 1% | 0 | 490,766 |
서울특별시 | 9,428,372 | 18.3% | -766,946 | -7.5% | -930,631 | 163,685 |
부산광역시 | 3,317,812 | 6.4% | -220,672 | -6.2% | -193,077 | -27,595 |
대구광역시 | 2,363,691 | 4.6% | -141,953 | -5.7% | -151,601 | 9,648 |
인천광역시 | 2,967,314 | 5.8% | 123,333 | 4.3% | 66,376 | 56,957 |
광주광역시 | 1,431,050 | 2.8% | -38,166 | -2.6% | -60,556 | 22,390 |
대전광역시 | 1,446,072 | 2.8% | -78,511 | -5.1% | -110,068 | 31,557 |
울산광역시 | 1,110,663 | 2.2% | -36,593 | -3.2% | -74,146 | 37,553 |
세종특별자치시 | 383,591 | 0.7% | 270,474 | 239.1% | 252,097 | 18,377 |
경기도 | 13,589,432 | 26.4% | 1,496,133 | 12.4% | 1,143,606 | 352,527 |
강원특별자치도 | 1,536,498 | 3.0% | -2,132 | -0.1% | 31,210 | -33,342 |
충청북도 | 1,595,058 | 3.1% | 29,430 | 1.9% | 34,022 | -4,592 |
충청남도 | 2,123,037 | 4.1% | 94,260 | 4.6% | 101,043 | -6,783 |
전라북도 | 1,769,607 | 3.4% | -103,734 | -5.5% | -65,146 | -38,588 |
전라남도 | 1,817,697 | 3.5% | -91,921 | -4.8% | -36,622 | -55,299 |
경상북도 | 2,600,492 | 5.1% | -97,861 | -3.6% | -47,265 | -50,596 |
경상남도 | 3,280,493 | 6.4% | -38,821 | -1.2% | -43,303 | 4,482 |
제주특별자치도 | 678,159 | 1.3% | 94,446 | 16.2% | 84,061 | 10,385 |
- 경기도로 무려 114만 3,606명이 10년간 다른 지역으로부터 순유입되었습니다. 신도시 개발, 산업 확장, 교통망 개선, 일자리 확대 등이 주요 요인으로 보입니다.
- 특히, 세종시는 전체 인구 38만 3,591명 중 25만 2,097명이 순 유입된 인구입니다. 지난 10년간 인구 증가율이 239%나 됩니다. 정부청사 이동이 가장 큰 역할을 했습니다.
- 서울, 부산, 대구 등 주요 대도시에서 인구 감소가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높은 주거비용, 삶의 질 추구, 직업 기회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인천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인구가 증가했습니다. 이는 신도시 개발, 산업 확장, 교통망 개선 등이 인구 유입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구 변화는 향후 도시 계획, 주택 정책, 교통 인프라 개발, 교육 및 보건 서비스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2. 인구 이동과 출생, 사망 등에 의한 인구 변화가 모두 마이너스 인 지역
인구 순이동과 이동 외 증감 요인이 모두 마이너스인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산광역시: 순이동: -193,077명 이동 외 요인: -27,595명 총 인구 변화: -220,672명 증감율: -6.24%
- 전라북도: 순이동: -65,146명 이동 외 요인: -38,588명 총 인구 변화: -103,734명 증감율: -5.54%
- 전라남도: 순이동: -36,622명 이동 외 요인: -55,299명 총 인구 변화: -91,921명 증감율: -4.81%
- 경상북도: 순이동: -47,265명 이동 외 요인: -50,596명 총 인구 변화: -97,861명 증감율: -3.63%
3. 인구 이동과 출생, 사망 등에 의한 인구 변화가 모두 플러스인 지역
순이동과 이동 외 증감 요인이 모두 플러스인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인천광역시: 순이동: +66,376명 이동 외 요인: +56,957명 총 인구 변화: +123,333명 변동율: +4.34%
- 세종특별자치시: 순이동: +252,097명 이동 외 요인: +18,377명 총 인구 변화: +270,474명 변동율: +239.11%
- 경기도: 순이동: +1,143,606명 이동 외 요인: +352,527명 총 인구 변화: +1,496,133명 변동율: +12.37%
- 제주특별자치도: 순이동: +84,061명 이동 외 요인: +10,385명 총 인구 변화: +94,446명 변동율: +16.18%
이러한 지역에서의 인구 증가는 순이동(타 지역에서의 유입)과 출산 증가, 사망률 감소, 이민 등 이동 외 요인 모두가 긍정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이 인구 유입에 유리하게 작용했음을 시사합니다.
대한민국 시군구 인구수, 행정구역 기준 남여 인구수 (2023년 10월 기준)
대한민국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3년 10월 기준 인구를 알아봅시다. 데이터는 주민등록 인구 기준입니다. 1. 지방자치단체별 인구수 현황 (2023년 10월 기준) 2023년 10월 기준 대한민국 인구수는 51,354,
betterberry.co.kr
국내 외국인 거주 현황, 외국 유학생, 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민자, 지자체별 현황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몇명인지, 어느 지역에 가장 많이 거주하는지 데이터 확인해 보세요 통계청 데이터 기준입니다. 1. 외국인 주민 현황 (2021년 기준) 외국인 주민은 2,134,569명입니다.
betterberry.co.kr
반응형
'경제경영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연령별 인구 추이 : 1960년~2072년 연도별 변화 (0) | 2024.01.18 |
---|---|
대한민국 전기차 시장 확대: 2022년 전기차 판매 인기 모델 순위 (0) | 2024.01.14 |
대한민국 시도 지역별 인구 변화 (2012 ~ 2022) (0) | 2023.12.25 |
전세계 메시지앱 순위 및 사용자수, 왓츠앱, 위챗, 페이스북메신저 사용자수 (0) | 2023.11.29 |
마케팅에 가장 많이 활용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0) | 2023.1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