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합계출산율3 합계출산율 0.78 _ 심각한 대한민국 인구 위기 지난 8월 22일 EBS의 다큐멘터리 '인구대기획 초저출생' 10부 예고편에는 대한민국의 합계 출산율을 본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법대 조앤 윌리엄스 명예교수가 "대한민국 완전히 망했네요. 아!" 하는 장면을 내보내며 이슈가 되고 있다. 합계 출산율이 무엇인지, 현재 출산율 현황이 어떤지 확인해 보자 1. 합계출산율이란 합계 출산율은 가임기 여성이 평생 낳는 자녀수를 가리키는 숫자다. 통계청은 23년 호 대한민국의 22년 기준 합계 출산율이 0.78이라고 발표했다. 대한민국의 합계 출산율은 매년 하락 추세다. 22년 전국에서 태어난 출생아수는 249천명이고, 합계 출산율은 0.78이다. 경기에서 75,300명이 태어났고 합계출산율 0.84이며, 서울은 42,500명이 태어났고 합계출산율 0.59다. 전국에.. 2023. 8. 24. 출산율 저하 심각: 유소년 부양비, 노년 부양비, 합계출산율 그래프로 보기 1. 유소년 부양비 유소년부양비란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에 대한 유소년(14세 이하)인구의 비를 말합니다. 66년 82.8을 정점으로 지속 하락해서 23년 현재 15.6입니다. 다시말하면, 15세~64세 인구 100명 당 14세 이하의 유소년 인구가 15.6명 밖에 안된다는 겁니다. 2. 노년 부양비 노년부양비란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에 대한 고령(65세 이상)인구의 비를 말합니다. 1968년 노년부양비는 5.7이었습니다. 그리고 2023년 노년부양비는 26.1입니다. 2030년 38.6까지 증가하고, 2050년이 되면 78.6까지 증가합니다. 그래프가 가파르게 올라가는 것 보이시나요? 즉, 2050년이되면 생산 연령인구인 15~64세 인구 100명당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가 .. 2023. 5. 1. 대한민국 출생율 및 OECD 국가 출생률 : 인구가 경제력인 시대 대한민국의 출생율이 매우 위험한 수준으로 떨어지고 있다. 경제에서 인구의 힘은 그 중요성을 아무리 말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번 글에서는 대한민국의 인구 현황과 OECD 국가의 인구/출생율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0. 합계출산율 지표 21년 현재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은 0.78이다. 합계출산율이란 15~49세의 가임 여성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합계 출생아 수를 나타낸 지표다. 연령별 출산율의 합산으로 나타내며, 한 나라의 출산력을 대표하는 지수다. 1. 대한민국 출생아수와 합계 출산율 현황 1970년 101만명이었던 출생아 수는 52년이 지난 22년 25만명으로 줄어들었다. 가임기 여자 1명당의 합계 출산율은 70년 4.53%에서 22년 0.78%까지 떨어졌다. 각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인구는.. 2023. 4.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