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5

전기차 글로벌 소비자 조사, 구매 의향 및 전기차 배터리 소비자 인사이트 (feat.딜로이트 컨설팅 레포트) 글로벌 컨설팅 업체 딜로이트가 22년 9월부터 10월까지 전세계 24개국 2만 6천명 이상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전기차 관련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전기차 시장에 대한 인사이트 레포트를 발표했다.(23년 2월) 딜로이트 컨설팅의 조사 결과 중 주요 내용을 발췌했다. 목차 1. 추후 차량 구매시 차량 엔진 선호도 2. 전기차로 구매하려는 이유 3. 전기차 충전 예상 장소 및 집에 충전소 설치 가능여부 4. 전기차 배터리 충전 대기 가능시간 5. 충전소에서 함께 서비스되면 좋은 편의 기능/서비스 6. 전기차 애플리케이션에 탑재되었으면 하는 기능 1. 추후 차량 구매시 차량 엔진 선호도 전기차 구매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는 각 국가별로 매우 다르다. 가솔린과 디젤, 배터리 전기차(BEV)와 하이브리드(H.. 2023. 5. 7.
23년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1~2월 테슬라,폭스바겐,스텔란티스,현대기아차 성장율 및 점유율 전기차 판매 관련 시장 정보를 제공하는 SNE Report에 의하면 23년 1~2월 전기차 판매량은 33.2% 증가했다.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과 기업별 실적, 지역별 실적을 알아보자 1.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중국 제외) 23년 1~2월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은 총 681천대로 전년 동기대비 33.2% 증가했다. 지난 17년~22년 6년간 CAGR 48%에 비하면 낮은 성장율이다. 2. 자동차 기업별 전기차 판매량 변화 (23년 1~2월) 23년 가장 많은 전기차를 판매중인 테슬라는 160.7천대를 판매하여 60.5%의 성장율을 보이고 있다. 테슬라의 매출 상승에는 주력 모델인 Model 3/Y의 판매량 성장이 크게 작용했다. 그 뒤를 이어 폭스바겐그룹이 89.2천대를 판매중으.. 2023. 5. 6.
축적의 길, 디지털 혁신에 중요한 개념 설계 역량을 확보하는 방법 디지털 시대에 성공하는 기업과 개인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이정동 교수의 을 통해 디지털 혁신 세상에서 살아남아 승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의 축적에 대해 알아보자. 1. 축적의 길은 어떤 책인가 축적(蓄積)이란 단어는 지식, 경험, 자금 등을 모아서 쌓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일제 시대와 625 전란 등의 피해로 인해, 전쟁 후 모든 것이 파괴되었던 나라인 것에 비하면, 세상 어느나라보다 빠르게 급성장하고 경제적으로 부흥한 나라다. 그리고 최근에는 가전, 모바일, 반도체, 그리고 전기자동차를 위한 배터리 산업에서 전 세계적으로 Top Tier의 기업을 가진 나라다. 제조가 핵심이던 산업 혁명 시대와 정보화 시대에 우리나라는 다른 어떤 나라보다 가장 잘하는 사업들을 가지고 있었다. 모두 앞서.. 2023. 5. 3.
테슬라 전기차 가격 인하 이유와 실적 발표, 수익성 전망 테슬라가 북미에서의 전기차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전기차 가격 인하를 지속 단행하고 있습니다. 23년 한해에만 벌써 6번째 가격을 낮추었고, 이에 따라 1분기 순이익이 24%나 급감했습니다. 테슬라의 전략은 무엇일까요? 시장에서 테슬라의 시장 점유율 확대와 이익 확대가 이루어질 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목차 1. 테슬라 손익 계산서 : 분기별 매출,이익 트렌드 2. 테슬라 주요 지표와 수익성 확인 3. 23년 1분기 테슬라 실적 발표 내용, 영업이익 비교 4. 테슬라 지역별 시장 점유율 5. 테슬라의 가격인하와 수익성에 대한 결론 1. 테슬라 가격 인하 후 손익 : 분기별 매출, 이익 트렌드 테슬라의 2023년 1분기 순이익이 24% 급감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도 감소했고, 직전 분기인 22년 4분기 .. 2023. 5. 2.
출산율 저하 심각: 유소년 부양비, 노년 부양비, 합계출산율 그래프로 보기 1. 유소년 부양비 유소년부양비란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에 대한 유소년(14세 이하)인구의 비를 말합니다. 66년 82.8을 정점으로 지속 하락해서 23년 현재 15.6입니다. 다시말하면, 15세~64세 인구 100명 당 14세 이하의 유소년 인구가 15.6명 밖에 안된다는 겁니다. 2. 노년 부양비 노년부양비란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에 대한 고령(65세 이상)인구의 비를 말합니다. 1968년 노년부양비는 5.7이었습니다. 그리고 2023년 노년부양비는 26.1입니다. 2030년 38.6까지 증가하고, 2050년이 되면 78.6까지 증가합니다. 그래프가 가파르게 올라가는 것 보이시나요? 즉, 2050년이되면 생산 연령인구인 15~64세 인구 100명당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가 .. 2023. 5. 1.
1인 가구 가구수, 소득, 소비 현황_1인 가구에 대해 궁금한 모든 데이터 우리나라에서 가장 보편적인 가구 형태는 무엇일까? 2인 가구? 3인가구? 대한민국에서는 1인 가구가 가장 보편적인 형태다. 1인 가구에 대해 궁금할만한 모든 통계 정보를 모아 보았다. 1. 대한민국 가구 현황과 1인 가구 비중 우리나라 전체 가구수는 21년 기준 21,448천 가구다. 그 중 7,166천 가구가 1인 가구로 비중으로는 33.4%다. 1인 가구 비중은 2015년 27.2%로 5,203천 가구였지만, 지난 6년 사이에 약 38% 증가했다. 전체 가구수가 12% 증가한 것에 비하면 1인 가구수의 증가는 매우 큰 수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천,가구)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전체가구 19,111 19,368 19,674 19,979 20,343 20,92.. 2023. 4. 30.
이미지 AI 달리2(DALLE 2) 사용 방법 및 제작 가능 이미지 예시 오픈 AI가 텍스트 생성형 AI 챗GPT와 GPT-4에 이어 이미지 생성 서비스 DALL-e 2 서비스를 오픈했습니다. 어떤 서비스인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 지 알아보고 잘 활용해보면 좋을 듯 합니다! 1. 달리2 는 어떤 서비스인가요? 달리2는 자연어 설명을 바탕으로 실사 이미지와 아트 이미지를 생성해주는 AI 시스템입니다. 이로써 오픈 AI는 22년 11월 Chat GPT를 시작으로 23년 GPT4와 DAlle 2까지 생성형 AI 서비스를 지속 오픈하고 있습니다. 오픈 AI는 달리2를 통해 사람들이 자신을 더 창의적으로 잘 표현하게 하기 위해 DALLE2를 오픈하게 되었다고 말합니다. Dalle2는 또한 더 진보된 AI 시스템이 우리 세상을 어떻게 보고 이해하는 지 사람들에게 이해시키고 싶어하고 사.. 2023. 4. 30.
페이스북 실적, 메타 주가 급상승, 23년 가입자, 수익성 확대는 지속적일까?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플랫폼을 운영하는 메타(Meta)가 23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수익성에 집중하겠다는 약속을 지켰고 기대보다 좋은 성과를 발표해서 실적 발표일의 주가 급상승을 이끌었는데요 메타의 23년 1분기 실적을 살펴보고, 향후 메타의 전망을 생각해보겠습니다. 1. 메타의 1분기 실적 발표 Meta 창립자이자 CEO인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는 실적 발표 첫 레포트에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우리는 좋은 분기를 보냈고 우리 커뮤니티는 계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AI 작업은 앱과 비즈니스 전반에서 좋은 결과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더 나은 제품을 더 빨리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제공할 수 있는 더 강력한 위치에 서게 됩니다. 특히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는 인스타그램에 .. 2023. 4. 29.
대한민국 인구수, 가구수, 1인 가구 데이터 통계 (23년 3월 기준) 1. 대한민국 가구수 및 인구 현황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3년 3월 기준 대한민국 총 인구수는 5천 141만 4,281명이다. 세대수는 2천 3백 795천 469가구다. 세대당 인구수는 2.16명이다. 1) 대한민국 행정지역별 인구수와 세대수 대만민국 인구의 약 50%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몰려있다.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은 경기도도 26.5%의 인구가 살고 있고 인구수로는 1, 360만명이고, 세대수로는 593만 가구다. 서울의 인구는 942만명으로 446만 세대가 살고 있다. 가장 인구가 적은 자치구는 세종특별자치시로 385천명의 인구와 16만 세대수가 살고 있다. 2) 코로나 이전대비 코로나 이후 인구수와 세대수 증감 코로나 이전인 20년 3월과 비교해서 23년 인구수는 -0.8% 감소.. 2023. 4.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