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5

합계출산율 0.78 _ 심각한 대한민국 인구 위기 지난 8월 22일 EBS의 다큐멘터리 '인구대기획 초저출생' 10부 예고편에는 대한민국의 합계 출산율을 본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법대 조앤 윌리엄스 명예교수가 "대한민국 완전히 망했네요. 아!" 하는 장면을 내보내며 이슈가 되고 있다. 합계 출산율이 무엇인지, 현재 출산율 현황이 어떤지 확인해 보자 1. 합계출산율이란 합계 출산율은 가임기 여성이 평생 낳는 자녀수를 가리키는 숫자다. 통계청은 23년 호 대한민국의 22년 기준 합계 출산율이 0.78이라고 발표했다. 대한민국의 합계 출산율은 매년 하락 추세다. 22년 전국에서 태어난 출생아수는 249천명이고, 합계 출산율은 0.78이다. 경기에서 75,300명이 태어났고 합계출산율 0.84이며, 서울은 42,500명이 태어났고 합계출산율 0.59다. 전국에.. 2023. 8. 24.
충성고객을 만드는 브랜드, 고객 경험은 어떻게 로열티를 만드나 1. 충성 고객을 만드는 브랜드 애플, 아마존, 스타벅스, 디즈니, 넷플릭스 이 브랜드들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각각 다른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는 글로벌 브랜드들이지만 위에 열거한 다섯 개의 브랜드는 공통적으로 열혈 팬을 많이 가지고 있다. 브랜드에 대한 고객들의 충성도가 높다. 그리고 ‘고객’ 중심 기업이다. 모든 고객 충성도 높은 브랜드의 특징은 열성적인 팬이 많다는 것이다. 브랜드의 팬인 고객들은 이용 가능한 다른 경쟁 브랜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브랜드를 선호하고 반복적인 구매 활동을 유지한다. 2.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고객은 어떤 고객인가? 충성도 높은 고객은 어떤 고객인가? 예전 말로는 단골이다. 고객을 상대로 장사하고 사업하는 사람이라면, 그 규모 여하를 막론하고 단골의 중요성을 잘.. 2023. 8. 18.
스타벅스 글로벌 매출과 이익, 재무 성과 1. 스타벅스 23년 3분기 실적 요약 (8/1 발표) 종합 순매출 12% 증가한 분기 사상 최고치 92억 달러 기록 3분기 동일 매장 기준으로 매출이 전 세계적으로 10% 증가함 : 북미에서 7% 증가, 인터내셔널 24% 증가 3분기 GAAP EPS 0.99달러; 비 GAAP EPS 1.00달러로 전 세계적으로 기대치를 초과 3분기 활성화된 미국 스타벅스® 리워드 멤버십은 전년 대비 15% 증가하여 3,140만 명에 이름 스타벅스는 전 세계의 매장에서 작년보다 10% 더 많은 제품을 판매. 매출의 증가는 더 많은 고객수(5% 증가)와 구매 건별 영수증 매출 증가(4% 증가) 북미와 미국에서는 작년보다 7% 더 많은 제품을 판매. 북미외의 다른 나라들에서는 작년보다 24% 더 많은 제품을 판매 중국에서는.. 2023. 8. 17.
다자녀 가구수 기준 변경, 두자녀 이상 가구 비중 정부가 추진하는 다자녀 가구 대상의 혜택 기준을 기존 3자녀 이상에서 2자녀 이상으로 정책을 크게 완화한다. 교육부는 8월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7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다자녀 세대 지원정책 추진 현황 및 개선 방향' 등을 본격 논의했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지난 3월 공개한 '저출산·고령사회 정책과제·추진방향'에 맞춰 다자녀 세대의 양육 부담을 줄여줄 범정부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 정책은 얼마나 영향이 클지 가구수 기준으로 점검해 보자. 1. 자녀수별 가구수 비중 2022년 기준, 전국 가구를 자녀수 기준으로 구분하면 다음 그래프와 같다. (출처: 통계청) 1자녀 가구 비중 42.41% 2자녀 가구 비중 47.87% 3자녀 가구 비중 8.89% 4자녀 가구.. 2023. 8. 16.
전세계 스타벅스 매장은 몇 개 ? 스타벅스가 가장 많은 나라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커피 브랜드 스타벅스 매장은 전 세계적으로 몇개나 될까? 1. 글로벌 스타벅스 매장수 추이 (Global Starbuck Stores) 2022년 기준, 전세계 스타벅스 매장은 35.7천개다. 매년 꾸준히 매장이 증가하는 것이 보이죠? (년도별 스타벅스 글로벌 점포 수, 단위:천개)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7.2 8.6 10.2 12.4 15.0 16.7 16.6 16.9 17.0 18.1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19.8 21.4 23.0 25.1 27.3 29.3 31.3 32.7 33.8 35.7 2. 스타벅스 지역별 점포 현황 가장 많은 스타벅스가.. 2023. 8. 16.
전세계 브랜드 가치 Top 10 Brand (The Most Valuable Brand Worldwide) 세계적인 리서치 업체 Kantar는 23년 7월 '2023년 전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브랜드 Top 100'을 발표 했다. Kantar는 재무 데이터 분석과 광범위한 브랜드 자산 연구를 결합하여 해당 브랜드 가치를 발표한다. 1. 전세계 브랜드 가치 Top 10 칸타가 발표한 가장 가치있는 브랜드 Top 10은 1위 애플, 2위 구글, 3위 마이크로소프트, 4위 아마존, 5위 맥도널드, 6위 비자, 7위 텐센트, 8위 루이비통, 9위 마스터카드, 10위 코카콜라다. 1위 애플은 8804억 5,000만 달러의 브랜드 가치로 Kantar 브랜드Z의 "2023년 가장 가치있는 글로벌 브랜드 보고서"에서 22년에 이어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다. 애플의 2022년 회계년도 매출은 3,943억 달러인데 애플의 브랜.. 2023. 8. 15.
오프라인 유통 전략 _ 미국 백화점 시어스, JC페니 파산과 월마트 옴니채널 사례 온라인 쇼핑의 증가로 오프라인 매장들이 고객수 감소와 수익성 저하로 적자 전환 및 파산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커머스로의 고객 이동에 따라 백화점이나 쇼핑몰에 입점하는 업체들이 문을 닫으면서 쇼핑몰이나 백화점이 연쇄 도산하는 등 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8월 1일 월스트리트 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오프라인 쇼핑몰의 가치가 2016년 최고점 대비 50~70%까지 하락했다고 한다. 세계 최고 소매업체인 시어스와 미국 3대 백화점 JC 페니는 2018년과 2020년에 각각 이커머스와 코로나의 공격을 버티지 못하고 파산했다. 프리미엄 백화점 니먼마커스도 2020년 사업을 접었다. 유일하게 살아남아 영업을 하던 메이시스(Macy's)는 2020년부터 100개의 점포를 폐쇄했다. 미국 부동산 조사업체인.. 2023. 8. 7.
테슬라 실적. 매출,이익, 판매량, 생산CAPA Update (23.2Q) 테슬라는 23년 2분기에 최고의 성과를 보였다. 테슬라가 발표한 23년 2분기 실적에 의하면 250억 달러에 달하는 제품의 생산과 출고가 이루어졌고, 그에 따라 최고의 수익을 달성했다. 테슬라의 최근 재무 성과와 생산 CAPA, 시장점유율을 알아보자 목차 1. 테슬라 제품별 매출 2. 테슬라 모델별 판매량, 인도량 3. 테슬라 매출 이익, 매출이익율 4. 테슬라 영업 이익, 영업이익율 5. 테슬라 생산 CAPA 및 공장 가동 현황 6. 테슬라 시장 점유율 7. 테슬라 주가 1. 테슬라의 매출 구조 테슬라는 23년 2분기 자동차 판매 매출이 212억 68백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6% 성장했고, 에너지 생성 및 저장 장치 매출은 15억 9백만 달러로 74% 성장, 서비스와 기타 영역에서 21억 50백만.. 2023. 8. 6.
스레드 Threads, 인스타그램 계정으로 가입, 가입자 돌풍 5일만에 1억명, 텍스트 기반 SNS 1. 스레드(Threads) 1억명 돌파, 출시 후 단 5일 스레드(쓰레드? Threads)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왓츠앱을 운영하는 메타가 새롭게 출시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다. 미국 시간으로 7월 5일 출시한 스레드는 소셜 네트워크 시장에 파란을 일으키고 있다. 메타의 최고경영자인 마크 저커버그에 의하면 7시간만에 1천만명이 가입했다고 한다. 출시 이틀만에 7천만 가입자를 확보하더니, 출시 5일만에 1억명을 뛰어 넘었다. 엄청나게 놀라운 속도다. 연초에 챗GPT가 1억명의 가입자를 모으는데 두달 밖에 안걸렸다고 전 세계가 뒤집혔는데, 메타의 스레드는 단 5일 걸린 것이다. [ 가입자 1억명까지 걸린 기간 ] 페이스북 4년 5개월 2004년 2월 출시 유튜브 2년 10개월 2005년 2월 출시 인스타.. 2023. 7. 25.
반응형